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리액트
- nvm
- 백준
- youtube iframe
- iP
- leetcode189
- react-native
- 자바스크립트
- mac
- 커스텀알림
- 파이어베이스로그인
- Python
- nvmrc
- Spread
- yarn-berry
- leetcode977
- css
- 프로토타입
- 구조분해할당
- 파이썬
- 커스텀알락
- 타입스크립트
- 다리놓기
- Next.js
- JS
- react-firebaseui
- React
- 기초
- Rest
- firebaseui
Archives
- Today
- Total
JadeCode
솔로 프로젝트 #1 json-server를 이용하여 서버 켜기 본문
가고싶은 곳 정리하기
1. 데이터는 더미데이터 대신 json-server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직접 DB를 만들고 서버를 구축 할 필요 없이 json 파일을 이용하여 REST API 서버를 구축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설치하기
npm i -g json-server
- 터미널을 열어 npm 을 이용해 전역 설치를 해준다.
cd data
json-server --watch data.json --port 4001
- 그 다음에 앱 내에 존재하고 있는 data 폴더로 이동한 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줍니다.
- —port 4001이라는 옵션을 뒤에 붙여주지 않으면 json-server는 저절로 3000번 포트를 점유하고 서버를 열게 되므로,
꼭 포트 번호를 뒤에 붙여 정확히 어느 포트에 서버를 여는 것인지 인지해야 한다.
// data/data.json
{
"area": [
{
"id": 1,
"area": "경복궁"
},
{ "id": 2, "area": "전주" }
],
"category": [
{ "id": 1, "category": "음식" },
{ "id": 2, "category": "관광지" },
{ "id": 3, "category": "숙소" }
],
"travel": [
{
"id": 1,
"areaName": "경복궁",
"categoryName": "관광지",
"name": "광화문",
"detail": "경복궁역에서 내려서 걸어서 광화문광장을 간다. 주변에는 교보문고 등 구경할 곳이 있다.",
"visited": false
},
{
"id": 2,
"areaName": "전주",
"categoryName": "관광지",
"name": "경기전",
"detail": "한옥마을 안에 있으며 어전을 볼 수 있다.",
"visited": true
}
]
}
포스트맨을 사용하여 GET요청을 보내 보았다.
data.json에 작성한 대로 서버가 잘 켜진 것을 볼 수 있다.
REST API의 기본적인 성능은 전부 갖추고 있으나 실제 앱에 사용되는 라이브러리는 아니다! 절대로 실제 앱에 json-server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서버를 구축하면 안된다. json-server는 앱의 프로토타입을 만들거나 공부를 위해 서버가 필요할 때 사용하는 용도로 이용해야한다.
포스트맨을 사용하여 POST요청을 보내 보았다.
'개발 > 웹'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loproject (0) | 2022.09.02 |
---|---|
[리뷰] 최적화 (0) | 2022.09.01 |
[리뷰] TDD (0) | 2022.08.18 |
[리뷰] GraphQL (0) | 2022.08.17 |
[리뷰] 번들링, Webpack (0) | 2022.08.0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