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react-native
- 타입스크립트
- youtube iframe
- 리액트
- leetcode189
- 자바스크립트
- 기초
- mac
- nvmrc
- 파이썬
- Python
- 다리놓기
- 커스텀알락
- firebaseui
- leetcode977
- 백준
- 프로토타입
- 구조분해할당
- JS
- Rest
- nvm
- Next.js
- css
- iP
- React
- Spread
- yarn-berry
- 파이어베이스로그인
- react-firebaseui
- 커스텀알림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Spread (2)
JadeCode
[리뷰] Section1 회고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개발/웹
2022. 5. 23. 20:00

둘 다 ...으로 표현되어서 헷갈리기 쉽다. 하지만 차이가 있다. spread 문법 주로 배열을 풀어서 인자로 전달하거나, 배열을 풀어서 각각의 요소로 넣을 때 사용한다. let arr = [10, 30, 40, 20] let value = Math.max(...arr) //let value = Math.max(10, 30, 40, 20)과 같다 배열 arr을 풀어서 각각의 요소를 넣는다. rest 문법 생김새는 spread와 비슷하지만 역할이 다르다. 파라미터를 배열의 형태로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파라미터 개수가 가변적일 때 유용하다 function printMaxNums(...args) { console.log(args) } printMaxNums(10, 30, 40) 여기에서 ...args는 r..
개발/웹
2022. 5. 13.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