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react-firebaseui
- 파이썬
- 파이어베이스로그인
- leetcode977
- 타입스크립트
- 백준
- 구조분해할당
- mac
- JS
- leetcode189
- 커스텀알락
- css
- yarn-berry
- 프로토타입
- Spread
- Python
- iP
- React
- 커스텀알림
- Rest
- 리액트
- Next.js
- firebaseui
- 자바스크립트
- nvmrc
- youtube iframe
- nvm
- react-native
- 다리놓기
- 기초
- Today
- Total
목록개발/웹 (37)
JadeCod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가고싶은 곳 정리하기 1. 데이터는 더미데이터 대신 json-server라이브러리를 사용한다. 직접 DB를 만들고 서버를 구축 할 필요 없이 json 파일을 이용하여 REST API 서버를 구축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 설치하기 npm i -g json-server 터미널을 열어 npm 을 이용해 전역 설치를 해준다. cd data json-server --watch data.json --port 4001 그 다음에 앱 내에 존재하고 있는 data 폴더로 이동한 뒤,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줍니다. —port 4001이라는 옵션을 뒤에 붙여주지 않으면 json-server는 저절로 3000번 포트를 점유하고 서버를 열게 되므로, 꼭 포트 번호를 뒤에 붙여 정확히 어느 포트에 서버를 여는 것인지 인지해야 한다...
React Developer Tools for Chrome을 섳치하여 확인할 수 있다. 1. useMemo() React Hook중 하나로 CPU소모가 심한 함수를 캐싱하기 위해 사용된다. 메모이제이션된 값을 반환한다. useMemo로 전달된 함수는 렌더링 중에 실행된다. 2. 컴포넌트 매핑할 때 key값은 유니크하게 사용해야한다. index로 사용하면 최적화가 잘 되지 않는다. 3. useCallback() useCallback으로 함수를 선언해주면 종속 변수들이 변하지 않으면 굳이 함수를 재생성하지 않고, 리렌더링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GraphQL은 페이스북에서 만든 쿼리 언어이다. 오픈 소스로 제공된 쿼리 언어이며 Graph+Query Language 의 줄임말로 Query Language 중에서도 Server API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Query Language를 뜻한다. API를 위한 쿼리 언어이다. GraphQL은 트리 구조로 쿼리 결과를 받기 위해 그래프를 탐색하는 쿼리 언어라고 볼 수 있다. GraphQL 특징 GraphQL은 HTTP를 통해 API 서버로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다. 응답을 받을 시, 데이터 결과를 JSON 형식으로 받는다. GraphQL은 서버 개발자가 작성한 각 필드에 대응하는 resolver 함수로 각 필드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GraphQL은 GraphQL 라이브러리가 조..

번들링 번들링은 여러 제품이나, 코드, 프로그램을 묶어서 패키지로 제공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프론트엔드 개발자게에 번들은 “사용자에게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파일 묶음"이다. 번들링의 필요성 번들링을 하지 않으면? 내가 작성한 HTML, CSS, JavaScript 파일을 그대로 전송하는 것은 큰 문제가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은 상황들이 일어난다면, 어려움에 처할 수 있다. 두 개의 .js 파일에서 같은 변수를 사용하고 있어서, 변수 간 충돌이 일어날 경우. 딱 한 번 불러오는 프레임워크 코드가 8MB라서, 인터넷 속도가 느린 국가의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가 불편을 호소한다. 번들 파일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서 파일의 공백을 모두 지웠는데, 가독성이 너무 떨어져서 코딩하기가 어렵다. 결..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cookie 쿠키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 영속성있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이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쿠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다. 그러므로 쿠리를 이용하는 것은 단순히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전송하는 것만 의미하지 않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쿠키를 다시 전송하는 것도 포함된다. 쿠키옵션 'Set-Cookie':[ 'cookie=yummy', 'Secure=Secure; Secure', 'HttpOnly=HttpOnly; HttpOnly', 'Path=Path; Path=/cookie', 'Doamin=Domain; Domain=tistory.com' ] 1. Domain 도메인이라는 것은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이름이다. (www.google.com). 쿠키 옵션에서 도메인은 포트(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