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파이어베이스로그인
- nvmrc
- 타입스크립트
- react-native
- Next.js
- 구조분해할당
- 파이썬
- 기초
- mac
- React
- nvm
- leetcode189
- Python
- Rest
- JS
- 커스텀알림
- 프로토타입
- 자바스크립트
- yarn-berry
- 리액트
- 다리놓기
- react-firebaseui
- firebaseui
- leetcode977
- 커스텀알락
- iP
- youtube iframe
- css
- Spread
- 백준
Archives
- Today
- Total
JadeCode
[tailwindcss] 테일윈드란? 본문
.m-1{margin:10px}
.m-2{margin:20px}
.text-sm{font-size:12px}
.text-lg{font-size:18px}
자주 쓰는 스타일을 클래스명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utility class
utility class 여러 개 모아놓은 라이브러리이다.
Bootstrap과의 차이점
bootstrap도 완성된 Component를 많이 제공하고 Utility class를 제공한다. tailwindcss가 더 많다. 그래서 tailwind가 용량은 크지만 build시 안 쓰는 스타일은 제거해준다.
Material UI와 차이점
mui는 미리 만들어진 컴포넌트들을 이용하는 느낌이라면 tailwind는 className으로 빠르게 커스텀하는 느낌이다.
Tailwind단점
자주 쓰는 클래스명을 외우고 있어야한다. -> 직관적이라 빠르게 적응할 수 있다.
클래스명이 길어져 가독성이 안좋다. -> 클래스를 새로 만들어 넣으면 된다.
스타일 재사용이 어렵다. -> 컴포넌트로 사용하면 된다.
Tailwind장점
반응형도 빠르게 작성할 수 있다. 다양한 utility class를 제공한다.
작업 속도가 엄청엄청 빨라진다.
결론
styled-components와 함께 사용하면 엄청난 css가 될 것이다.
++ twin.macro를 사용해 Styled-Components안에서 tailwindcss를 사용할 수 있다.
Comments